작품 소개

지금까지 PRECTXE에서 소개된 훌륭한 작품들에 많은 관심을 가져주세요.

unfold.alt
DSCF3539.JPG

2016년 | 사운드, 비주얼

크기: 가변

"unfold.alt"는 원래 설치 작품으로 개발된 "unfold"의 단일 스크린 버전입니다. 이 작품은 별 형성 과정의 10단계를 역시간 순서로 보여줍니다. 원본 설치 작품 버전에서는 성간 물질, 분자 구름, 거대 항성 충돌, 필라멘트 형성, 전성(前星) 핵, 원시성 형성, 핵융합과 자기장, 초신성, 중력 붕괴, 중성자별의 시간 순서로 배열되어 있습니다. — 천체물리학 분야의 최신 발견에서 영감을 받은, 일본 작가 료이치 쿠로카와(Ryoichi Kurokawa)의 새로운 몰입형 감각 설치 작품인 "unfold"는 별과 은하의 형성과 진화를 둘러싼 현상들을 소리, 이미지, 진동으로 번역하고자 합니다. 2003년부터 료이치 쿠로카와는 기술적 완벽성과 예술적 아름다움을 결합한 다양한 디지털 아트워크를 제작해 왔습니다. 그의 작품들은 장관을 이루는 시청각 콘서트, 청각 및 다중 스크린 영상 설치 작품, 그리고 홀로그램 및 몰입형 작업의 형태를 띠어왔습니다. 그의 미학 – 추상과 구상의 교차 – 은 일반적으로 순수한 기하학적 형태, 픽셀, 인상주의적 색채, 익숙한 풍경과 실루엣과 더불어, 자연 및 도시의 소리를 모두 아우르는 오디오 질감(텍스처)으로 구성됩니다. 진화와 소멸(때로는 갑작스럽고, 때로는 점진적인)에 초점을 맞춘 쿠로카와 작품의 모습은 우리를 일차적 인지 지각의 우주로서, 우리 일상을 채우는 이미지와 소리의 끊임없는 흐름 속으로 되돌려 놓습니다. 새로운 재현의 코드 "unfold"에서 료이치 쿠로카와는 최근 발견에서 영감을 받은 예술/과학 프로젝트를 위해 청각적 및 시각적 재료를 융합하는 공감각적인 것에 관심을 갖습니다. 이러한 발견은 유럽우주국(ESA)과 NASA의 위성, 특히 허셜 우주 망원경이 생성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CEA-IRFU의 천체물리학자들이 이루었습니다. 망원경의 원적외선 복사 관측은 100억 년에 걸쳐 별 탄생의 일부 조건과 은하 생명의 역사를 밝혀냈습니다. 별 형성의 우주론적 역사, 특히 별이 태어나는 분자 구름의 필라멘트 구조를 추적할 수 있게 하는 이 데이터 외에도, 작가는 CEA-IRFU의 천체물리학자들이 슈퍼컴퓨터의 도움으로 제작한, 우주와 그 구조를 모델링하기 위한 수치 시뮬레이션에 자신의 논리를 기반했습니다. 천체물리학자(이자 CEA-IRFU 연구원)인 빈센트 미니에(Vincent Minier)의 감독 하에 제작된 이 프로젝트는 또한 수집된 데이터의 재현(표현)과 발표 방식에 의문을 제기하기 위해 연구와 과학적 발견을 넘어서도록 합니다. 이 주제에 대해 미니에는 비록 "이러한 관측 결과의 표현과 대중 공유는 일반적으로 아름다운 색채 이미지(채색된 이미지)를 통해 이루어지지만", 그 색채는 결코 관측된 대상의 실제 색상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빛의 강도, 밀도, 온도 또는 화학적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라고 상기시킵니다. 그는 쿠로카와의 작업이 "결과 패턴의 확립, 과학적 해석, 그리고 이러한 결과 뒤에 있는 기술의 표현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시각화 형태를 상상하기 위해 "'대기 가장자리에 있는 성운의 일반적인 코드'에 의문을 제기한다"고 평하며, '수학적 아름다움'과 '이 데이터의 중요성에 대한 몰입'에 더 기꺼이 초점을 맞춘다고 덧붙입니다. 변환의 미학 이 일본 작가의 작업은 거의 한 세기 동안 미술사의 많은 부분을 관통하는, 전사(轉寫) 또는 변환의 미학이라고 규정할 수 있는 경향, 즉 다양한 윤곽을 가진 미학과 궤를 같이합니다. 지난 15년 동안 디지털 아트 분야에서 많은 작가들은 디지털 데이터에 대한 우리의 상상력을 포착하기 위해 설치 작품과 시청각 콘서트를 (민감하고, 청각적이거나 시각적인 형태로) 구체화하려고 노력해왔습니다. 다른 이들은 보다 공감각적인 관점에서 신호라는 개념을 보여주고자 합니다. 즉, 기계의 도움으로 소리 신호를 시각화하고, 컴퓨터 계산을 통해 이미지를 (기꺼이 추상적이고 기하학적인) 소리로 바꾸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러한 흐름은 1920년대에 시작되었는데, 당시 많은 예술가들은 움직임, 추상성, 기하학, 때로는 구체적인 형상들이 음악의 역동성에 더 부합하는 것처럼 보였던 시간 기반의 시각 작품을 탄생시키려 노력했습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의 선구자로는 발터 루트만(Walter Ruttman), 한스 리히터(Hans Richter), 비킹 에겔링(Viking Eggeling), 라슬로 모호이너지(László Moholy-Nagy) 등이 있습니다. 보다 최근 수십 년 동안에는 시각 음악의 힘을 통해 오스카 피싱거(Oskar Fischinger), 렌 라이(Len Lye), 노먼 매클래런(Norman McLaren)이 이러한 원칙 중 일부를 탐구했습니다. 196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 말까지 예술가들은 실험실, 스튜디오, 연구 및 창작 기관에서 컴퓨터와 비디오 장비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는 세기 초 아방가르드가 시작한 아이디어에 새로운 자극을 주었으며, 존 휘트니(John Whitney), 에드 엠쉴러(Ed Emshwiller), 스타이나 & 우디 바술카(Steina & Woody Vasulka) 듀오의 영화와 비디오(때로는 연구 형태)를 떠올리게 합니다. 이들 모두는 추상의 영역을 계속 오르내렸고, 한편 로베르 카엥(Robert Cahen)과 게리 힐(Gary Hill)과 같은 영화 제작자들은 묘사와 언어의 경계를 탐구했습니다. 비록 료이치 쿠로카와가 현대 미술의 내부 서클이나 권위 있는 학교 또는 기관의 직계 후손은 아니지만, 그의 작업은 그 계보의 일부입니다. 차이점은 오사카 출신으로 현재 베를린에 거주하는 이 작가는 오히려 손에 컴퓨터를 쥐고 사실상 태어난 자생적 세대의 일부라는 점입니다. 21세기로 접어들면서, 일렉트로닉 음악에 영향을 받은 이 소수의 예술가들은 MaxMSP나 Processing과 같은 새로운 사운드 및 이미지 처리 소프트웨어의 엄청난 능력을 발견하고, 그 새로운 잠재력을 전유하여 장면적, 공간적 형태로 탐구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디지털 자연주의 2000년대 중반 초기 작업부터 료이치 쿠로카와는 동일한 작업 과정을 따랐습니다. 즉, 자신이 직접 자연 환경이나 도시 공간 등에서 기록한 이미지와 소리를 (소프트웨어의 도움으로) 왜곡하는 것입니다. 디지털 조작을 통해 그의 원본 자료는 점차 원래 형태에서 벗어나 추상성을 띠게 되며, 때로는 시적이지만 더 자주 역동적이며, 빛의 경련과 최면적인 맥동으로 생동감 넘치는 색조와 음조의 시청각적 우주를 드러냅니다. 그의 작품은 기술적이고 혁신적으로 보일 수 있지만, 사실 가장 구체적인 현실, 그리고 더 나아가 작가가 "낭만적인 관점이 아니라 오히려 형식적인 관점에서" 고려하는 주변 자연에서 비롯됩니다. 그는 '그 구조와 움직임'에서 영감을 얻습니다. 그의 작품은 서예와 시부터 연극과 무용에 이르기까지, 종종 자연(그 리듬, 형태, 계절)과의 자발적인 애니미즘적 관계 속에서 작업을 전개하는 수많은 일본의 예술가들을 모델로 삼는 경우가 많습니다. 쿠로카와의 첫 작품(2003년 구상) 자체도 'Copy Nature'라고 불렸습니다. 천체물리학자들의 데이터에 의존하는 "unfold"도 이 규칙에서 예외는 아닙니다. 이는 아무리 멀리 떨어져 있더라도 우리 우주를 형성하는 변화에 시적인 형태를 부여하는 문제입니다. 그러나 이 작업의 새로움은 여기서 쿠로카와의 접근 방식이 과거보다 더 과학적인 관점에서 비롯된다는 점입니다. 여러분이 경험하게 될 "unfold"는 별 진화의 각 단계를 구성하는 다양한 대상과 단계를 묘사하는 시나리오에 따라 구상되었습니다. 아홉 개의 장면이 선택되었는데, 이는 작가와 과학자들 간의 논의 결과이며, 실제 물리적 현상에 최대한 가깝게 머물면서 별 진화를 통한 선형적 여정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런 방식으로, "Unfold"는 성간 물질(은하수 대부분을 구성하는 가스와 먼지로 이루어진 공간)을 암시하고, 이후 벨라 분자 구름을 탐험하며 이온화, 난류, 충격파, 중력 수축과 같은 현상을 형성합니다. "Unfold"는 핵융합(우리 태양과 같은 별의 에너지원)을 표현하고, 초신성 폭발의 초기 1초를 모델링하며, 마지막으로 별 형성을 다시 활성화시키는 은하 충돌을 묘사하고자 합니다. 이는 우리 은하가 수십억 년 후에 겪게 될 운명처럼 보이는 현상입니다.

Anger and Hope
01-AH-GM.jpg

2020년 | 사운드, 비주얼

크기: 가변

<분노와 희망>(Anger & Hope)은 판도라의 상자를 나타냅니다. 이 상자에서 두 감정이 빠져나왔고, 우리 시대에도 계속해서 되풀이되고 있습니다. 낡은 세계가 나날이 더욱 붕괴하는 것을 지켜보면서 이 신화는 깊은 공감을 불러일으킵니다. 이 장치의 목적은 소리 주파수에 물리적인 형태를 부여하는 것으로, 이는 광속(luminous flux)을 통해 3차원으로 표현됩니다. 이미지와 사운드는 변화하는 윤곽을 가지며 살아있고 만질 수 있는 것처럼 보이는 하나의 매체로 합쳐집니다. Concept & design: Guillaume MARMIN Music: Philippe GORDIANI Coproduction : MOTION MOTION, STEREOLUX, YAM

Timeé
01-Timee-GM.jpg

2017년 | 사운드, 비주얼

크기: 가변

기원전 360년경, 플라톤은 그의 대화편 『티마이오스』를 저술했습니다. 이 책에서 그는 우주를 지구 중심 체계로 상상했으며, 각 행성이 궤도 공전에 따라 고유한 음조(tonality)를 갖는다는 '천구의 음악(Music of the Spheres)'이라는 개념을 포함했습니다. 전체 체계는 옥타브, 5도, 4도, 그리고 온음(tone)으로 나뉘었습니다. 이런 방식으로 태양계는 완벽한 악보를 구성하게 됩니다. 리옹 천체물리학 연구센터(Centre de recherche en astrophysique de Lyon)와의 협력을 통해, 기욤 마르민(Guillaume Marmin)과 필립 고르디아니(Philippe Gordiani)는 이 이론에서 영감을 받아 광선과 공간화된 음파로 구성된 몰입형 장치인 <Timée>(티메) 설치 작품을 만들었습니다. Concept & design: Guillaume Marmin Music: Philippe Gordiani Coproduction: YAM In collaboration with Lyon Astrophysics Research Center

Licht Mehr Licht
01-LML-GM.jpg

2017년 | 사운드, 비주얼

크기: 가변

<Licht, mehr Licht!>(빛을, 더 많은 빛을!)는 수백 개의 움직이는 빛줄기가 교차하는 복도의 형태를 띱니다. 관객은 설치물을 가로질러 작품 속으로 직접 들어갈 수 있습니다. 사운드와 동기화된 이 환경은 살아 움직이며, 변화하는 시점을 그려내고 우리 인식의 한계를 시험합니다. 자욱한 안개 덕분에 빛은 마치 만져질 듯 느껴집니다. 이는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물리적 공간과 정신적 공간 사이에 경계를 그으며, 최면을 거는 듯 매혹적인 세계를 만들어냅니다. <Licht, mehr Licht!>(빛을, 더 많은 빛을!)는 독일의 소설가이자 광학 연구가였던 괴테가 남긴 마지막 말이었습니다. 이 신비로운 유언은 임사 체험과, 반복적으로 나타난다는 빛의 터널에 대한 많은 이야기들을 연상시킵니다. Concept & design: Guillaume Marmin Music: Philippe Gordiani & Eve Risser Coproduction: Biennale Nemo, Tetro+A, Stereolux, YAM, Puzzle.

언스포큰 허드 Unspoken Heard
Max Cooper_Unspoken Words_album_cover_artwork_credit_@zach.lieberman @colin.droz.jpg

2023년 | 사운드, 비주얼

크기: 없음

맥스 쿠퍼가 3월 25일 메시에서 발매되는 새 앨범 Unspoken Words를 발표합니다. 오늘 그는 리드 싱글 “Everything”과 함께 뮤직비디오를 공개합니다. “Everything"은 자유와 기쁨을 신나게 표현한 곡으로, 맥스 쿠퍼의 형성기의 클래식 신스 사운드와 80년대와 90년대 음악과 대중문화의 이상주의 황금기를 반영한 색채의 폭발이 돋보이는 곡입니다. “저는 무엇이든 가능하다는 느낌을 좋아합니다. 뭔가 터질 것 같고 표현을 찾아야 할 것 같은 기분이 들죠."라고 쿠퍼는 말합니다. “신디사이저는 단순한 코드 진행, 즉흥적인 패드와 디스토션 레이어에 제가 상상할 수 있는 모든 희망이 응축되어 있는 것 같았습니다. 함께 작업하는 것은 정말 즐거웠고, 창의적인 사고방식으로 시간을 보내다 보니 나중에 덜 조증적인 조건에서 촬영할 수 있는 많은 아이디어가 떠올랐어요.” 이 트랙은 오늘 오전 BBC 라디오 6 뮤직 [여기에서 다시 듣기]에서 메리 앤 홉스의 니어 퓨처 트랙으로 소개되었습니다. 시청각 아티스트로서 쿠퍼는 자신의 음악과 작품에 영감을 주고 정보를 제공하는 아이디어와 이야기를 강화하기 위해 종종 영상 매체를 활용합니다. 'Everything'은 13개의 단편 영화 중 하나로, 3월 25일에 앨범과 함께 블루레이로 출시될 메타내러티브와 언스포큰 워드에 결합되어 있습니다. 쿠퍼는 오랜 공동 작업자인 닉 코비와 전 세계의 방대한 이미지 라이브러리를 보유한 사진작가 안드레이 프로코로프와 함께 'Everything'의 시각적 스토리를 개발했습니다. <Unspoken Words>에 대하여 “저는 항상 말과 씨름해 왔습니다. 제 내면의 상태를 어떤 방식으로든 의미 있게 전달하려고 노력하는 것은 항상 저를 넘어서는 일이었습니다.” 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음악은 언어를 우회합니다. 음악은 제 표현 수단이고, 그래서 저는 음악을 많이 만들고 창작에 몰두합니다.” - 맥스 쿠퍼, 2022년 1월 언스포큰 워즈는 맥스 쿠퍼의 가장 솔직한 작품으로, 성찰, 수용, 고뇌, 이상주의, 거부와 같은 개인적인 이야기를 통해 청취자를 일탈과 연결의 경험으로 이끌고 있습니다. 쿠퍼 자신의 정신 상태를 날것 그대로 표현하여 인간이라는 존재의 보편적인 경험을 조명합니다. 언스포큰 워즈는 내면의 불일치에 직면하고 더 큰 연결과 더 큰 표현의 필요성을 느끼는 모든 이들에게 공통의 기반, 통합의 공간을 제공합니다. 맥스는 언스포큰 워즈를 집필하는 과정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제 마음속에 존재하는 것이 때로는 아름답고, 때로는 강렬하고, 때로는 거칠고, 지저분하고, 당황스럽고, 끊임없는 경험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고, 그 느낌과 형태를 앨범에 최대한 많이 담아내려고 노력했습니다.” 능숙하게 믹싱된 오디오는 맥스 쿠퍼가 의뢰하고 감독한 다양한 시각 예술가들이 제작한 13편의 단편 영화를 통해 펼쳐지는 시각적 스토리와 함께 돌비 애트모스 서라운드 사운드로 믹싱되었습니다. 잭 리버만과 콜린 드로즈가 디자인한 앨범 아트워크. 앨범과 곧 개최될 증강 현실 전시회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동반 웹사이트(www.unspokenwords.net)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베 Aubes
28-Aubes_Camilla_Rehnstrand_Intonal2023.jpg

2024년 | 사운드, 비주얼

크기: 가변

‘오베(Aubes)’는 프랑스어로, ‘새벽’을 뜻한다. 새벽은 자연스럽고 보편적인 전환 현상으로, 한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밤에서 낮으로 이어지는 과정의 시작을 나타낸다. 빛이 조금씩 드러나고 추상적인 모양과 실루엣이 눈에 띄기 시작하고 색상이 점차 살아나고 밤으로부터 의미가 생성되는 신비로운 희망의 전령사 같은, 매일 드러나고 실현되는 잠재력을 지닌 ‘새벽’을 빛과 어둠, 사운드와 비주얼의 팔레트로 표현한 이 새로운 공연은 시청자들에게 독특한 감각적 경험을 선사한다.

더 보기